DreamFactory

[본문스크랩] OSI 7 Layer

MSTOY™ 2007. 3. 16. 11:34

http://www.a24s.com/data/jeongbotongsinhakseub/jbts/contents/ch2-4.htm

4. OSI 참조 모델의 계층별 기능

◈ 컴퓨터 간의 정보 교환 절차

1) 두 시스템 간에 물리적 연결이 되어야 한다.

▶실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비트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어야 함
두 컴퓨터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면 컴퓨터 고유의 주소 번호
를 찾아 비트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함.

▶OSI 참조 모델에서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이 이에 해당


2) 응용 프로그램 간에 논리적 연결이 되어야 한다.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이 상대방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지, 그리고 존재한다면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확인
양자의 데이터 표현 형태가 다르면 이를
공통된 형식으로 번역할
수 있어야 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도 합의
해야 함

▶OSI 참조 모델에서 응용 계층, 표현계층, 세션 계층이 이에 해당


3) 물리적 연결과 논리적 연결 사이에 가교(link) 역할이 필요하다.


▶가교 역할을 하는 계층은 상위의 응용 프로그램과 메시지를 교환하고,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된 하위 계층과의
통신 채널을 확보, 감시, 제어하여 안전하게 메시지가 교환
되도록 함

▶OSI 참조 모델에서 전송계층이 담당


[그림 Ⅰ-18] OSI 참조 모델 구조와 기능 참고



■ OSI 7 레벨 계층 참조 모델의 계층 순서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순) : 물리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트랜스포트 계충)→ 세션 계층
→ 표현 계층(프레젠테이션 계층) → 응용 계층

레 벨

계 층

기 능

1계층

물리 계층

ㆍ비트 스트림을 전송 매체를 통해서 전송
ㆍ실제 회선의 연결을 확립, 유지,단절하기 위한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ㆍ물리적인 링크를 통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
ㆍ체크섬을 포함한 데이터 블록(Frame)을 전송
ㆍ동기화, 에러제어, 흐름 제어 기능을 담당

3계층

네트워크 계층

ㆍ상위계층에게 연결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전송과 교환 기능을 제공
ㆍ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
ㆍ경로 제어와 유통 제어를 수행

4계층

전송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ㆍ종단 간(End-to-End)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데이터 전송을 제공
ㆍ종단 간 에러 복구와 흐름 제어, 다중화 기능을담당

5계층

세션 계층

ㆍ응용 간의 통신에 대한 제어 구조를 제공
ㆍ응용들 사이의 연결을 확립, 유지, 단절시키는 수단을 제공

6계층

표현 계층

ㆍ데이터 표현(Syntax)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표현의 형식의 변환
ㆍ암호화,내용 압축,형식 변환 등의 기능을 제공

7계층

응용계층

ㆍ사용자가 OSI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최하위 계층

▶통신 회선, 채널 등과 같이 시스템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전기적인 통신 매체
▶실제 비트 정보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
데이터 링크 계층의 비트 단위으 정보를 노드 사이의 물리적 매체를 통하여 전자기적 신호나 광신호로 전달하는 역할

▶역할 : 디지털 정보를 전송 신호로 바꾸는 부호화와 변조, 매체상에서의 신호 전파, 전송된 신호를 복조하여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등의 과정

■ 4가지 주요 특성

기계적

시스템과 주변장치 사이의 연결을 위한 사항

전기적

신호의 전위 규격과 전위 변화의 타이밍에 관한 사항
(데이터 전송 속도 와 통신 거리를 결정)

기능적

각 신호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수행되는 기능을 정의

절차적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절차를 규정


▶전송 케이블이 직접 연결되는 계층으로서 전기적 전송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기능 담당.
네트워크 계층이 결정한 전송 경로를 실제로 연결하는 기능


▶ 실제 전송 경로를 연결하는 방법
①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② 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③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방법이 있음.


▶ 전송 매체로 사용되는 케이블은 통신 경로의 길이, 전송 속도에 따라 선택하게 되는데 보통
①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wire pairs)
②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③ 광섬유(optical fiber) 등이 사용됨


▶ 거리가 먼 국가와 국가간 통신은 대개 전파를 이용, 이때에는 인공위성이라든가 무선 중계기 등을
전송매체로 사용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목적 : 인접한 두 시스템(노드)을 이어주는 전송 링크상에서 데이터 단위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것
▶네트워크 계층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받아들이고 물리(링크) 주소와 각종 제어 정보를 추가시킴

▶추가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단위를 프레임(frame)이라고 하고, 물리 계층을 통하여 전송
▶역할 : 데이터 링크 계층은 부가적으로 흐름제어, 오류 처리, 동기화 등의 역할을 담당

▶ 물리계층이 데이터를 보내고 받고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데이터 링크 계층은 그 위에 위치하여
그러한 기능이 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함

예 : 두 시스템이 같은 회선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하면 충돌이 생겨 문제가 발생된다.
또 정상적인 전송이 이루어졌다 해도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음.
그밖에 전송 도중 전기적 충격 등의 외부 간섭에 의해 데이터의 일부가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오류 검출의 필요성도 있음.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송신측 노드로부터 여러 네트워크 경로를 거쳐 수신측 노드까지 안전하게 전송하는 라우팅(routing) 기능을 가짐

▶데이터 링크 계층은 노드 대 노드 전달을 담당하는 반면, 네트워크 계층은 각 패킷이 송신지에서
최종 수신지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함

▶안전한 패킷 단위의 전송을 위하여, 패킷으 이동량이 많아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 패킷의 흐름을 제어 하는
흐름제어(flow cintrol) 기능과 전송 중에 패킷이 분실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재전송을 요구할 수 있는 오류 제어 기능 제공

▶ 통신 경로를 배정 또는 중계하는 기능을 담당.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두 시스템간에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해서는 중간에 일련의 노드들(다른
시스템들)을 통과하는데 어떤 노드들을 거쳐 상대방까지 도달하느냐의 경로가 결정되어야 한다.

▷ 경로 상에 놓여 있는 노드들의 네트워크 계층은 이 데이터들을 중계하여 송신측에서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다리 역할을 함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는 메시지 단위의 정보교환을 책임짐
안전한 전송을 위하여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논리적 통로를 만들 수 있고, 수신측에서 모든 패킷의 전송과 도착을 검사 함.

▶세션 계층에서 보내온 메시지를 알맞은 크기의 세그먼트로 나누고, 헤더에 각 세그먼트의 순서 번호를 기록하여
네트워크 계층으로 보내며, 다시 받는 쪽의 전송 계층에서는 이를 취합하여 순서대로 조립.

▶ 주로 종단간(end-to-end) 통신을 다루는 최하위 계층.(더 아래 계층은 네트워킹 자체를 다룸)
다른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설정들,
즉,
통신 속도, 비용, 서비스의 특성, 데이터 단위 크기, 주소 매핑(통신 상대자 식별) 등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음.


◆ 이 계층까지가 시스템 사용자 영역이라 할 수 있고, 그 아래층들은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통신망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음.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응용 프로그램 간의 대화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
최소한의 기능은 두 응용 프로그램 간으 연결 설정, 유지 및 해제

▶데이터 열의 중간에 동기점(syn)을 삽입하여, 연결이 단절되거나 전송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재동기화와 오류 복구를 쉽게 함.
▶이 계층의 헤더는 전송된 데이터 단위의 종류와 동기화 지점 정보를 포함

▶ 전송에 필요한 제어 기능을 상위 계층에 제공.
통신할 컴퓨터 선택하고,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며 오류 복구 기능을 제공함.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응용 계층으로부터 넘겨 받은 데이터를 세션계층이 다룰 수 있는 형태로 부호화하고 반대로 세션 계층에서 넘겨 받은
데이터를 응용 계층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는 일을 담당

보안을 위해 데이터의 암호화와 해독을 수행하고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필요에 따라 압축과 전개를 수행
▶이 계층의 헤드에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타입과 매개 변수 및 전송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

▶ 응용계층에서 취급하는 다양한 형식의 표현 양식을 일반적인 전송형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 데이터
압축 등의 기능 수행

예 :
두 대의 컴퓨터가 상이한 형식의 숫자, 문자, 형식을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 두 시스템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자기 컴퓨터의 표현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응용 계층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 역할을 담당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최상위 계층

▶OSI 참조 모형에서 정의된 최상위 계층으로 사용자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줌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전자 우편, 원격 파일 접근과 전송, 공유 데이터 베이스 관리 및 여러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

▶ 최상위 계층으로서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들에게 통신 기능을 제공
전자우편, 파일전송, 원격입력, 자원할당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 제공


개방시스템과 OSI 모델

① 프로토콜은 호환성이 없는 시스템끼리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통신규약.
② 개방 시스템
: 어떤 유형의 시스템이라도 그 근본 구조와 무관하게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의 집합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방시스템 상호 연결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 모델 개발
④ OSI 프로토콜은 네트워크를 7개의 계층으로 정의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7레벨 계층

◆ 탄생 배경과 목적

1) 탄생 배경
ㆍ서로 다른 기종간의 원활한 통신 수행
ㆍ통신 구조의 표준화
ㆍ1977년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서 제정

2) 목적
ㆍ시스템 연결에 사용되는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공통적인 방법 제시
ㆍ기존 표준과의 관계 및 향후 개발되는 표준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개발됨

◆기본 요소
ㆍ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 : 응용 프로세스 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
ㆍ 응용 프로세스(Application Process) :응용 프로그램과 같이 서로 실제 정보를 교환하고, 처리를 수행하는 주체
ㆍ 접속(Connection) :응용 엔티티 간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논리적 통신 회선
ㆍ물리매체(Physical Media) : 물리적인 전송매체